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개최하는 2024 SIMTOS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 지속,
전월의 기저효과로 생산·수주·수출입 모두 증가
공작기계 수주 동향
2025년 2월 공작기계 수주는 2,350억으로 전월대비 0.5%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6% 감소했다. 같은 기간 내수수주는 943억원으로 전월대비 21.8%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6.3% 증가했다. 수출수주의 경우 1,407억원으로 전월대비 10.1%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6.3% 감소했다.
2025년 2월 수주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2,299억원, +0.1%), 범용절삭기계(37억원, +56.3%)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14억원, △21.1%)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NC선반(1,009억원, △2.3%), 프레스(14억원, △21.1%)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머시닝센터(902억원, +6.4%)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5년 2월 수주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업종의 수주가 340억원으로 전월대비 7.0%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4.9% 증가했다. 그 밖에 일반기계(266억원, +69.2%), 전기·전자·IT(104억원, +65.3%), 정밀기계(55억원, +28.8%), 조선·항공(51억원, +78.7%), 금속제품(9억원, +623.6%)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철강·비철금속(26억원, △27.3%)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생산·출하현황
2025년 2월 공작기계 생산은 1,772억원으로 전월대비 24.1% 감소(전년동월대비 △9.6%) 했으며, 출하는 1,974억원으로 전월대비 42.7% 증가(전년동월대비 △4.7%) 했다.
2025년 2월 품목별 생산에서는 NC절삭기계(1,575억원, +26.9%), 성형기계(172억원, +2.0%), 범용절삭기계(26억원, +33.0%) 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또한 NC선반(719억원, +9.0%), 머시닝센터(560억원, +76.6%), 프레스(172억원, +2.0%) 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수출동향
2025년 2월 공작기계 수출은 182백만불로 전월대비 15.8%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2.7% 감소했다.
2025년 2월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127백만불, +11.6%), 성형기계(44백만불, +13.4%), 범용절삭기계(11백만불, +132.3%) 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절삭기계 중에서는 NC선반(62백만불, +16.4%), 레이저가공기(16백만불, +44.9%)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머시닝센터(39백만불, △6.1%)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보링기(3백만불, △16.0%), 연삭기(1백만불, △28.4%)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밀링기(2백만불, +1.4%), 범용선반(0.3백만불, +178.5%)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성형기계 중 전단기/펀칭기/낫칭기(19백만불, +29.6%), 프레스(16백만불, +102.5%)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절곡기(6백만불, △26.0%)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5년 2월 대륙별 수출에서는 북미(65백만불, +6.5%), 아시아(51백만불, +24.6%), 유럽(46백만불, +25.9%) 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수입동향
2025년 2월 공작기계 수입은 68백만불로 전월대비 15.9%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4.3% 증가했다.
2025년 2월 수입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46백만불, +27.6%), 범용절삭기계(7백만불, +32.1%)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15백만불, △13.7%)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 중 레이저가공기(17백만불, +0.3%), NC선반(7백만불, +145.4%)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머시닝센터(8백만불, △3.4%)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연삭기(4백만불, +1.1%), 보링기(0.5백만불, +26.4%)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범용선반(0.3백만불, △64.2%), 밀링기(0.2백만불, △31.8%)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성형기계 중 프레스(4백만불, △33.5%)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인발기(3백만불, +2,034.9%), 전단기/펀칭기/낫칭기(3백만불, +57.7%)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5년 2월 대륙별 수입에서는 아시아(46백만불, +14.9%), 유럽(16백만불, +8.9%), 북미(5백만불, +76.7%)는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2월 자동차산업 동향
2월 자동차 수출액 60.7억불 달성하며
연간 2월 실적 중 최초로 60억불 돌파
2025년 2월 자동차 산업은 전년동월대비 생산, 수출, 내수 모두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하며 호조세를 보였다.
2월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동월대비 17.1% 증가한 35.2만대를 기록했다. 이는 2014년 2월 36.1만대 생산 이후 11년만에 2월 월간 생산량 35만대를 초과한 것이다.
2025년 2월 내수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14.8% 증가한 132,855대를 기록했다. 2월 내수 판매량 증가는 승용차 개별소비세 감면과 전기차 보조금 조기 개편 및 집행 등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자동차 수출량은 전년동월대비 17.3% 증가한 232,978대를 기록했으며,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17.8% 증가한 60.7억불로 나타났다.
친환경차 내수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50.2% 증가한 60,351대를 기록했으며, 수출 대수(승용 기준)는 전년동월대비 32.0% 증가한 68,960대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