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센터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개최하는 2024 SIMTOS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산업정보

[Global Trend ②] 인도 공작기계 시장 동향
작성일 2025-03-20 오후 4:10:19
조회수 758
첨부파일

Global Trend

 

 

인도 공작기계 시장 동향

 

 

인도표준국 공작기계 품목에 BIS인증 도입    

2025년 8월 2일 인도항 도착 제품부터 BIS 인증 적용 예정

 

 

인도 표준국 자국 판매되는 공작기계 품목 신규 인증 도입

인도 정부가 2024년 8월 28일부터 자국 내에 판매되는 공작기계 품목들에 대해 ‘인도 표준인증(BIS)을 받도록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이번에 새롭게 BIS에 추가된 해당 공작기계 품목은 ‘금속절단기계 및 그 조립품/부품 등(HS 8456~8461)’으로, 2025년 8월 24일 인도항에 도착하는 제품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국내 공작기계 기업들은 이번에 추가된 BIS 인증 대상 공작기계 품목들을 인도로 수출할 경우 인증절차를 거쳐야 한다. 해당 기업은 인도표준국(Bureau of India Standards, BIS)으로 신청서 원본을 우편이나 방문을 통해 제출하고, BIS 서류심사를 거쳐야 한다. 이후 BIS 심사원이 제조공장을 방문해 제품시험 및 공장심사를 수행하고, 인도 규격에 따라 제품 테스트를 완료하면 BIS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인증 준비 서류의 경우 지사·연락사무소 등 판매 주체의 인도 내 사업등록증, 인도 내 대리자 혹은 에이전트(AIR, Authorized Indian Representative) 지정 서류, 상품 제조과정 설명서, 공장 내 품질보증 시스템, 부품과 원료 관련 인증자료, 제조기계 및 테스트 장비의 리스트, 기타 서류 등이다. 

 

 

인도 수출기업 BIS 인증 신청부터 승인까지 3개월~1년 소요

BIS 인증 신청 및 취득을 위해서는 반드시 인도 현지에 책임자 및 에이전트(AIR, Authorized Indian Representative)를 지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현지법인, 수입자, 또는 사설 AIR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 인증절차를 살펴보면 BIS 담당자가 국내 공장을 방문해 확인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등 인증 취득 절차가 복잡하고 인증 취득 비용이 높은 편이다. 일반적으로 인증 신청부터 승인까지는 3개월에서 1년 정도의 기간이 소요된다. 특히, BIS 인증은 인도 내 수입, 판매되는 품목의 경우 인증 취득 후에도 인증 유지 및 갱신 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되기 때문에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된다는 점 역시 특기할 만 하다. 

이번 공작기계 관련 BIS 인증 문의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운영하는 ‘해외기술규제 및 규제대응지원센터(www.knowtbt.kr)’나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인증사업본부 수출지원센터(Certinfo@ktl.re.kr)’에서 가능하다.   

인도 정부는 2020년부터 경제개발 정책으로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2.0’을 실시하고 있으며, 자국 제조업 육성 및 성장을 위해 제조업 수입물품에 대한 품질검사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공작기계 품목에 대한 BIS 인증 추가 도입은 인도 자국 기계산업 보호와 육성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추정된다. 

 


 

 

인도 높은 성장잠재력에 한국의 대인도 공작기계 수출 증가세

한편, 우리나라가 2021년 인도로 수출한 기계류는 9,904만달러였으며, 2023년 연간 수출액은 1억 3,567달러 규모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인도 공작기계 산업규모는 약 15억달러로, 매년 8.2% 성장해 2032년에는 30억 5천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 팬데믹, 국제 정세 불안 등에 따라, 인도는 글로벌 공급망의 다변화 흐름 속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더불어 인도 정부 역시 제조업 부흥을 목표로 하는 가운데, 생산성 및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한 산업 자동화가 진행되면서 공작기계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인도의 저렴한 노동력과 원자재 비용, 그리고 제조 업종에 대한 우호적인 세금 정책 등은 해외 기업들의 투자 유치를 이끌어 내고 있으며, 제조 역량 강화 및 신규 가치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현재 인도 공작기계 산업은 인도 자동차 산업과 더불어 동반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자동차 산업군에서는 공작기계 수요가 다른 산업군에 비해 높은 편으로 차량의 주요 부품 가공 시에는 공작 기계 활용이 필수적이다. 인도 내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는 내연기관과 전기 구동 장치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기술을 채택하는데,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고속 전환을 위한 내마모성 부품의 정교한 가공이 요구된다. 

인도 자동차 산업 규모는 2021년 세계 4위인 327억달러 규모였으며, 2027년에는 548억달러 규모로 성장해 세계 3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 자동차 부품 산업 또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570억달러 규모를 기록했으며, 인도 GDP의 2.3%를 차지하기도 했다. 탈탄소 트렌드가 글로벌 이슈로 떠오르며 전기차 시장의 확대가 두드러지지만 아직까지 인도 자동차 시장의 공작기계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