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센터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개최하는 2024 SIMTOS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산업정보

[1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 미국 글로벌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출시장 위축 등으로 생산·수출·실적 전년대비 감소
작성일 2025-03-13 오후 2:49:27
조회수 217
첨부파일

Machine Tool Market
자료_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산업진흥팀

 

 

미국 글로벌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출시장 위축 등으로 생산·수출·실적 전년대비 감소

 




공작기계 수주 동향

2025년 1월 공작기계 수주는 2,340억으로 전월대비 15.5%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3.1%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내수수주는 775억원으로 전월대비 9.2%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3.2% 감소했다. 수출수주의 경우 1,565억원으로 전월대비 18.3%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3.6% 증가했다.

2025년 1월 수주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2,298억원, △15.5%), 범용절삭기계(24억원, △4.9%), 성형기계(18억원, △25.8%)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NC선반(1,032억원, △17.5%), 머시닝센터(848억원, △6.6%), 프레스(18억원, △25.8%)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5년 1월 수주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업종의 수주가 366억원으로 전월대비 20.7%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7.6% 증가했다. 그 밖에 일반기계(157억원, △19.8%), 전기·전자·IT(63억원, △27.8%), 조선·항공(28억원, △72.3%),  금속제품(1억원, △60.8%)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정밀기계(43억원, +19.9%), 철강·비철금속(36억원, +59.3%)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생산·출하현황

2025년 1월 공작기계 생산은 1,429억원으로 전월대비 26.3% 감소(전년동월대비 △31.8%) 했으며, 출하는 1,383억원으로 전월대비 56.4% 감소(전년동월대비 38.1%) 했다. 

2025년 1월 품목별 생산에서는 NC절삭기계(1,240억원, △29.8%), 범용절삭기계(19억원, △25.5%)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성형기계(169억원, +17.6%)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또한 NC선반(660억원, △21.4%), 머시닝센터(317억원, △48.2%)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프레스(169억원, +17.6%)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수출동향

2025년 1월 공작기계 수출은 158백만불로 전월대비 37.6%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2.9% 감소했다. 

2025년 1월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114백만불, △31.9%), 성형기계(39백만불, △47.4%), 범용절삭기계(5백만불, △58.2%)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 중에서는 NC절삭기계 중 NC선반(53백만불, △32.3%), 머시닝센터(42백만불, △2.0%), 레이저가공기(11백만불, △60.4%)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보링기(3백만불, △34.0%), 밀링기(2백만불, △40.4%), 연삭기(2백만불, △77.8%), 범용선반(0.1백만불, △84.7%)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성형기계 중 전단기/펀칭기/낫칭기(15백만불, +30.8%)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프레스(8백만불, △82.6%), 절곡기(8백만불, △5.7%)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5년 1월 대륙별 수출에서는 북미(61백만불, △3.1%), 아시아(41백만불, △52.1%), 유럽(36백만불, △50.9%)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수입동향

2025년 1월 공작기계 수입은 59백만불로 전월대비 32.2%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1.8% 감소했다.

2025년 1월 수입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36백만불, △39.9%), 성형기계(17백만불, △1.8%), 범용절삭기계(5백만불, △40.5%)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 중 레이저가공기(17백만불, △22.8%), 머시닝센터(8백만불, △48.6%), NC선반(3백만불, △20.7%)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연삭기(4백만불, △52.7%), 보링기(0.4백만불, △27.0%), 밀링기(0.3백만불, △54.3%)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범용선반(0.8백만불, +89.0%)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성형기계 중 프레스(7백만불, △18.6%), 기타성형기계(5백만불, △2.7%)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절곡기(3백만불, +44.7%)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5년 1월 대륙별 수입에서는 아시아(40백만불, △22.0%), 유럽(15백만불, △53.7%)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북미(3백만불, +25.6%)는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1월 자동차산업 동향

 

1월 하이브리드차 수출대수 최고실적 경신하며

자동차 수출액은 1월 수출액 중 역대 2위 기록

 

2025년 1월 자동차산업을 살펴보면 하이브리드차(HEV) 수출대수가 최고실적을 경신하며, 자동차 수출액이 1월 수출액 중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동월대비 18.9% 감소한 290,590대를 기록했다. 내수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9.0% 감소한 105,928대를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7.9% 감소한 199,663대를 기록했으며,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19.6% 감소한 49.9억불로 나타났다.  

친환경차 내수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2.4% 증가한 38,796대 였으며, 수출대수(승용기준)는 전년동월대비 4.4% 감소한 58,091대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