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개최하는 2024 SIMTOS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인도와 베트남 등 신흥국 제조업 설비수요 증가에도
미국, 중국, 독일 등 주요 제조국 설비투자 둔화 지속
공작기계 수주 동향
2024년 11월 공작기계 수주는 1,928억으로 전월대비 11.8%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3.1% 감소했다. 같은 기간 내수수주는 478억원으로 전월대비 38.1%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4.5% 감소했다. 수출수주의 경우 1,451억원으로 전월대비 2.5%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6.9% 증가했다.
2024년 11월 수주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1,881억원, △12.5%)는 전월대비 감소했으나 범용절삭기계(35억원, +25.2%), 성형기계(12억원, +44.9%)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선반(959억원, △4.9%), 머시닝센터(648억원, △8.5%)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프레스(12억원, +44.9%)는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품목에서는 보링기(52억원, △23.1%)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연삭기(29억원, +3.3%), 밀링기(14억원, +18.9%)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4년 11월 수주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업종의 수주가 193억원으로 전월대비 52.8%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1.7% 감소했다. 그 밖에 일반기계(72억원, △30.7%), 조선·항공(31억원, △50.7%), 철강·비철금속(11억원, △73.2%), 금속제품(1억원, △82.2%)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전기·전자·IT(53억원, +60.1%), 정밀기계(53억원, +60.4%)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생산·출하현황
2024년 11월 공작기계 생산은 1,968억원으로 전월대비 1.4% 증가(전년동월대비 △3.5%) 했으며, 출하는 2,223억원으로 전월대비 5.0% 감소(전년동월대비 △12.6%) 했다.
2024년 11월 품목별 생산에서는 NC절삭기계(1,808억원, +2.3%)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133억원, △9.6%), 범용절삭기계(27억원, △1.5%)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NC선반(795억원, △4.7%), 프레스(133억원, △9.6%)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머시닝센터(696억원, +8.1%)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수출동향
2024년 11월 공작기계 수출은 199백만불로 전월대비 11.9%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7.8% 감소했다.
2024년 11월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139백만불, △2.3%), 범용절삭기계(9백만불, △25.6%)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성형기계(50백만불, +124.2%)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절삭기계 중에서는 NC선반(60백만불, △5.3%), 레이저가공기(22백만불, △23.4%)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머시닝센터(45백만불, +35.6%)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또한 연삭기(3백만불, △47.6%), 보링기(2백만불, △55.3%), 밀링기(2백만불, △59.7%)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범용선반(0.5백만불, +39.5%)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성형기계 중 프레스(28백만불, +137.0%), 절곡기(9백만불, +212.0%), 전단기/펀칭기/낫칭기(7백만불, +104.9%)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4년 11월 대륙별 수출에서는 아시아(62백만불, +3.3%), 유럽(59백만불, +24.4%), 북미(55백만불, +2.2%) 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수입동향
2024년 11월 공작기계 수입은 76백만불로 전월대비 28.6%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0.1% 증가했다.
2024년 11월 수입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50백만불, +14.2%), 성형기계(18백만불, +80.9%), 범용절삭기계(8백만불, +47.8%) 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절삭기계 중 머시닝센터(13백만불, +19.2%), NC선반(7백만불, +128.2%)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레이저가공기(13백만불, △13.3%)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연삭기(7백만불, △11.8%)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밀링기(1백만불, +116.3%), 범용선반(1백만불, +392.2%), 보링기(0.5백만불, +22.1%)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성형기계 중 프레스(8백만불, +309.7%), 절곡기(4백만불, △9.5%), 기타성형기계(2백만불, +196.8%)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4년 11월 대륙별 수입에서는 아시아(50백만불, +6.6%), 유럽(23백만불, +144.3%), 북미(2백만불, +0.3%) 모두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11월 자동차산업 동향
하이브리드차 수출액 10.3억불 기록하며 4개월 연속 10억불 이상의 실적 나타내
2024년 11월 자동차산업을 살펴보면 하이브리드차 수출액이 10.3억불을 기록하며 4개월 연속 10억불 이상의 실적을 나타냈다. 또한 내수 판매에서도 역사상 최초로 5만대를 돌파하며 하이브리드차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국내 자동차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7.1% 감소한 344,355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11월보다 조업일수가 하루 감소한 것과 변속기 등 일부 부품 공급 차질이 자동차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내수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7.9% 감소한 147,841대를 기록했다. 자동차 판매량이 작년 동기대비 다소 감소했으나, 11월 코리아 세일페스타 등 자동차 업계의 연말 판촉강화로 2024년도 월 기준 최고 판매고를 보였다.
친환경차 내수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15.2% 증가한 67,091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수출량은 전년동월대비 2.8% 감소한 60,387대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