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센터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개최하는 2024 SIMTOS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산업정보

[Global Trend ③] 유럽지역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현황
작성일 2025-01-09 오후 4:23:03
조회수 45
첨부파일

Global Trend

 

 

일본의 미래 자동차 시장 분석과 업계의 대응 

 

EU 전기차 증가 속도 못 따라가는 전기 충전소 구축 탈탄소 목표 달성 위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는 필수

친환경 탄소저감을 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은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변화를 야기했으며 전기차 시장의 확대를 불러왔다. EU는 탈탄소 정책을 주요 목표로 내세우며 전기차 확산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할 유럽지역 내 충전설비 구축 확대를 독려하고 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글로벌 산업기술·시장동향’-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현황(ACEA) (’24.9.), 상용차신문의 ‘유럽, 유로7(배기가스 기준) 승용·밴 ‘완화’, 트럭?버스는 ‘강화’(’23.10.04.) 등의 자료를 통해 유럽의 전기차 충전소 설치 현황을 살펴봤다. 


유럽자동차공업협회, 탈탄소 위해 충전 인프라 강조

현재 유럽 자동차 산업은 다가올 미래 시장에 대한 준비에 여념이 없다. 자동차 전동화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 중이며 새로운 기회를 엿보고 있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 자동차 시장에 대한 기대가 확산되고 있지만 탄소저감 목표 달성에는 자동차 자체 뿐만이 아니라 유관 인프라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유럽자동차공업협회(Europe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ACEA)는 탈탄소화 목표를 가로막는 장애물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유럽지역의 전기차 인프라 구축 확대가 시급하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EU는 신규 승용차 및 승합차와 밴의 CO2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21년 대비 각각 2030년 37.5%, 31%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EU는 2023년 10월 경 기존 초안보다 규제를 세부적으로 조정해 승용차와 밴의 경우 완화됐고, 트럭과 버스는 규제가 강화됐다. 사실 EU는 2022년 10월 경 2035년까지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100% 감소시킬 수 있도록 목표를 잡는 등 탈탄소에 대한 의미를 강하게 나타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EU 회원국들의 이의제기로 인해 규제기준이 다소 완화되는 분위기이긴 하다. 

유럽 자동차 산업은 2,500억유로 이상을 자동차 전동화에 투자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전기차와 밴을 생산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하지만, 전기차의 생산은 도로 운송의 탈탄소를 위한 일부에 불과할 뿐다. 이와 더불어 정부 차원에서 전기차 구매를 장려하는 정책의 역할이 필수적 요소라고 할 수 있며, 전기차를 위한 충전 인프라 확보 또한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유럽 공공충전소 대비 전기차 판매량 3배 이상 추월

유럽 지역의 전기차 관련 인프라 구축 현황은 아직까지 탄소저감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다. 2023년 말 기준 유럽 전역의 도로에는 약 300만대의 전기차가 운행 중이며, 공용충전지점은 632,423개가 구축되어 있다. 2023년에는 신규로 총 153,000여개의 공공충전지점 설치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EU 집행위는 자동차의 CO2 배출량을 55%까지 감축시킨다는 실질적 목표을 내세우고 있다. 이러한 성과 달성을 위해서는 필요한 전기차 관련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다. EU 집행위가 제시하는 차량의 전동화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350만개의 공공충전지점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유럽지역에 향후 7년간 약 290만개의 공공충전지점이 추가적으로 설치 및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환산해보면 앞으로 연간 약 41만개, 주당 약 7,900개의 공공충전지점 구축이 진행되어야 한다. 한편, ACEA는 EU집행위가 내놓은 전기차 인프라 구축 목표보다 더 높은 수요예측을 내놓고 있다. ACEA는 2030년까지 880만개의 공공충전지점 설치 및 구축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지난 7년간 유럽의 전기차 판매량은 공공충전지점 구축 비율을 3배 이상 추월한 상황이다. 2017년과 2023년 사이, 전기차 판매량은 18배 이상 증가한 반면, 유럽의 공공충전지점 수는 불과 6배 증가했을 뿐이다. EU지역 전체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현황을 살펴보면, 일부 국가는 앞서나가고 있으나, 대부분의 국가는 뒤처져 있는 상황이다. 엄밀히 따져보면 유럽 내 전체 전기차 충전지점의 절반 이상이 특정 국가들에 집중 분포되어 있다.

전체 유럽 지역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3개국 만이 EU 전체 공공충전지점의 약 61%를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39%는 EU 24개 회원국에 흩어져 분포해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 공공충전지점의 가용성과 전기차 판매량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전기차 판매량이 가장 높은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및 이탈리아 등 상위 5개 국가를 살펴보면 충전지점이 가장 많은 국가들의 리스트와 대체적으로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급속 충전지점(22kW이상 용량)이 유럽 전체의 일부에만 몰려있다는 것으로 고려할 때, 유럽 전역에 걸친 충전 속도 또한 주요 문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유럽 전체 공공충전지점의 13.5%, 즉 7개 충전지점 중 1개 만이 급속 충전이 가능하며, 대다수는 22kW이하 용량인 ‘일반’ 충전지점에 해당된다. 

2023년 말 기준, 유럽에서는 29대의 전기차, 53대의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차량(PHEV) 당 급속 충전지점 한 곳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도 있다. 



탈탄소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2030년 탄소 배출 55% 감축

현재 향후 탄소저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EU 국가 정부는 전기차의 충전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대체연료인프라규정(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 AFIR)의 신속한 시행을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다. 

또한, 유럽대체연료관측소(European Alternative Fuels Observatory, EAFO)의 역할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대체연료 관련 정보 제공을 넘어 EAFO가 강력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고 EU 회원국의 신속한 충전 인프라 구축을 장려해야 할 것이다. 전기차 판매가 유럽지역 전체에 구축된 공용충전지점의 수를 앞지르는 상황에서 EU 및 회원국들은 전기차 공용충전지점의 배치 규모를 확대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전기차 증가에 맞춰 유럽 지역의 공용충전지점 확대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경우 EU의 도로 운송 탈탄소화 목표 달성은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EU는 향후 내연기관 차량 판매를 단계적으로 폐지한다는 계획을 진행중인 만큼, 전기차의 수요 급증을 지원하기위서는 포괄적인 공용충전지점 네트워크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EU는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 및 유럽 기후대응 정책 패키지인 ‘Fit For 55’에 따라,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달성, 2030년까지 배출량 55% 감축 목표를 설정한 바 있다. 또한, 2035년까지 자동차 및 밴에 대해 100% CO2 감축 목표를 설정하기도 했다. 

이러한 EU의 기후대응 정책 목표를 달성을 위해서는 전기차(BEV+PHEV)를 포함해 전력충전차인 순수전기차(electrically-chargeable vehicles, ECV) 판매가 높은 수치로 활발하게 증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공용충전지점 인프라의 증가 및 확산, 가용성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대체연료인프라규정, 충전설비 증가 유도해 전기차 확산 지원 

승용차 및 경상용차 부문의 대체연료인프라규정(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 AFIR)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전기차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공용충전지점 증가라고 할 수 있다. 

AFIR은 유럽 전역에 공용충전지점 배치를 관리하는 법안으로, 2025년 및 2030년 달성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승용차 및 경상용차 부문의 AFIR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크게는 네 가지라고 할 수 있다. 첫째, 공용충전에 필요한 전력 수준을 향상 시키고, 둘째는 충전지점 당 설치되는 전체 전력을 증강하고, TEN-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 핵심 네트워트 구현 일정을 TEN-T 종합 네트워크 구현 일정과 일치시키는 것이다. 셋째로는 충전 지점에 대한 밀도 매개변수의 도입, 넷째는 고속 충전지점 구축을 촉진하는 것이다. 

참고로 TNT-T는 유럽횡단네트워크로 철도, 도로, 내륙 수로, 해로, 항구, 공항 및 철도 터미널 등 유럽 전역에 이르는 수송망 통합을 구현하는 것이다.  

EU 집행부는 주요 운송 통로인 TEN-T에 따라, AFIR는 2025년부터 60km마다 최소 150kW의 고속 충전지점 설치를 EU 회원국들에게 요구하고 있다. 단, AFIR는 ‘최소의 요구사항’만을 설정하고 있기에 CO2 목표 달성에 필요한 것보다 훨씬 더 낮은 수준이다. 이는 자동차 및 밴의 CO2 목표를 충족하기에는 불충분한 상황이다.

 


 

 

글로벌 주요국 전기차 확산위해 충전소 설치 구축 노력 활발

이동수단의 탄소 저감을 위한 글로벌 주요국들의 노력도 활발하다. 대표적으로 미국과 중국도 전기동력 자동차들의 증가와 함께 전기충전소 확대를 위해 서두르고 있다. 

중국의 경우 전 세계 공용 충전 인프라의 거의 3분의 2를 차지하며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유럽지역과는 비교가 불가한 상황이다. 하지만 유럽과 중국의 충전소 설치 현황을 단순 수치적으로 비교하기에는 애매하다.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충전소를 설치하고 있지만 공공 충전소 네트워크는 유럽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더 작은 배터리를 장착한 BEV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충전기는 유럽보다 더 낮은 출력을 제공하므로 배터리가 작은 저렴한 메인스트림 차량에는 적합하지만, 고속 충전 기술의 이점을 누릴 수 있는 고급 차량에는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은 2022년 내놓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에 따라 전기차 소비자, 기업, 제조업체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IRA 법안에 따라 미국 정부는 2032년까지 차량당 최대 7,500달러의 세금공제 혜택을 제공하고,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포함한 특정 대체연료 차량의 주유시설 설치 비용의 최대 30%까지 세액 공제를 해주고 있다. 더불어 자동차 제조업체들에게 전기 충전식 차량 및 충전 인프라에 대한 수요를 충족 할 수 있도록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전기 동력차 확산으로 탄소저감을 촉진한다는 측면에서 IRA는 초당적 인프라 법으로 미국 내 충전 인프라의 생산 및 설치를 촉진시키고 있다. 

2023년 5월 현재 미국에는 배터리 및 플러그인 전기 자동차를 위한 충전 콘센트가 138,100개 이상 설치되어 있다.이는 전기 자동차의 지속적인 확대를 위한 상당한 기반이 되고 있으며, 미국 내의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EU, 모니터링, 기술혁신, 지원책 등 인프라 확대 노력 

유럽 각국의 일일 평균 거리는 대략 실제 40km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내연기관 차량의 장거리 주행에 익숙한 소비자에게는 주행거리가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쉽사리 바뀌지 않는 한 고밀도의 충전지점 네트워크 확립은 불가피한 요소라고 할 수 잇다. 

유럽 내 공용충전지점 배치의 가속화는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이 가능하다. EU집행위의 정책적 의지를 따라 EU 회원국들이 AFIR, 즉 대체연료인프라규정을 신속하게 구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유럽대체연료 관측소(EAFO)는 회원국들이 빠르게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신속하게 확산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EU 이니셔티브가 존재하지만, 아직까지도 무려 22개 회원국들이 인프라 개발 또는 설치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Mckinsey)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소 확장 및 재생에너지 용량 증가를 위해서는 유틸리티 그리드에 대한 실질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고 평가한 바 있다. 

향후 기술혁신이 진행될 경우 전기차 충전사업자(Charge Point Operator, CPO)와 유틸리티가 V2G(Vehicle-to-grid), 양방향 유동(bi-directional flow), 스마트 그리드, 그리드 밸런싱 솔류션과 같은 기능을 활성화하고, 충전 속도를 증가시켜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충전 인프라의 배포를 넘어 충전사업자는 결제 단순화, 충전소 신뢰성 및 가용성에 대한 실시간 정보 제공 등 고객 경험을 실질적으로 개선해 나가야할 것으로 보인다. 

EU 위원회는 충전 인프라 확산을 위한 원활한 프로세스 구축 노력도 요구되는 상황이다. 인프라 설치와 관련된 형식적인 절차, 허가 및 허가 계획은 전기차 충전소 설치에 장애물로 작용되고 있다. 공공재 의미가 강한 공용 충전 네트워크는 중요한 인프라 인만큼, 공공 및 민간 이해관계자의 역할과 책임이 명확하게 정의될 필요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