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센터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개최하는 2024 SIMTOS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산업정보

[8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 국제정세 불안과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등으로 수출 부진 지속
작성일 2024-10-10 오전 10:27:24
조회수 1582
첨부파일

Machine Tool Market
자료_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산업진흥팀

 

 

국제정세 불안과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등으로 수출 부진 지속






 





공작기계 수주 동향

2024년 8월 공작기계 수주는 1,925억원으로 전월대비 22.4%%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3.2% 감소했다. 같은 기간 내수수주는 696억원으로 전월대비 13.7%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증감없이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수출수주의 경우 1,229억원으로 전월대비 26.6%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4.9% 감소했다.

2024년 8월 수주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1,874억원, △23.2%)는 전월대비 감소했으나 범용절삭기계(37억원, +12.0%), 성형기계(14억원, +55.4%)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선반(1,010억원, △6.3%), 머시닝센터(702억원, △13.3%)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프레스(14억원, +55.4%)는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품목에서는 보링기(47억원, △34.6%), 연삭기(10억원, △65.2%), 밀링기(15억원, △58.4%)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4년 8월 수주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업종의 수주가 214억원으로 전월대비 26.7%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0.0% 감소했다. 그 밖에 일반기계(159억원, △8.6%), 조선·항공(52억원, △0.9%), 철강·비철금속(28억원, △25.8%)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전기·전자·IT(111억원, +20.1%), 정밀기계(35억원, +71.4%), 금속제품(5억원, +89.0%)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생산·출하현황

2024년 8월 공작기계 생산은 2,214억원으로 전월대비 2.9% 증가(전년동월대비 +7.2%) 했으며, 출하는 2,439억원으로 전월대비 0.1% 감소(전년동월대비 △2.4%) 했다. 

2024년 8월 품목별 생산에서는 NC절삭기계(2,033억원, +3.1%), 범용절삭기계(32억원, +1.8%)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149억원, △0.4%)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NC선반(989억원, +6.4%)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머시닝센터(695억원, △6.9%), 프레스(149억원, △0.4%)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수출동향

2024년 8월 공작기계 수출은 169백만불로 전월대비 13.8%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9.1% 감소했다. 

2024년 8월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131백만불, △4.1%), 성형기계(31백만불, △41.4%)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범용절삭기계(7백만불, +8.6%)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절삭기계 중에서는 NC선반(63백만불, +2.9%)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머시닝센터(34백만불, △7.3%), 레이저가공기(22백만불, △12.5%)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연삭기(4백만불, +28.2%), 밀링기(3백만불, +80.2%), 범용선반(1백만불, +309.2%)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보링기(2백만불, △53.3%)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성형기계 중 전단기/펀칭기/낫칭기(12백만불, +24.8%)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프레스(11백만불, △60.0%), 절곡기(4백만불, △33.5%)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4년 8월 대륙별 수출에서는 아시아(62백만불, +7.9%), 유럽(52백만불, +3.1%)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북미(44백만불, △25.4%)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수입동향

2024년 8월 공작기계 수입은 85백만불로 전월대비 11.4%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9.7% 증가했다.

2024년 8월 수입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61백만불, +23.2%), 범용절삭기계(8백만불, +26.3%)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16백만불, △21.8%)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 중 레이저가공기(20백만불, △0.2%)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머시닝센터(14백만불, +9.0%), NC선반(5백만불, +10.0%)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연삭기(6백만불, +11.4%), 밀링기(2백만불, +21.0%), 범용선반(0.6백만불, +56.4%), 보링기(0.04백만불, +7.9%)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성형기계 중 전단기/펀칭기/낫칭기(4백만불, +23.9%)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절곡기(4백만불, △42.4%), 프레스(3백만불, △45.8%)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4년 8월 대륙별 수입에서는 아시아(58백만불, +14.2%), 북미(9백만불, +266.2%)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유럽(18백만불, △18.4%)은 전월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8월 자동차산업 동향

 

수출액 전년동월대비 4.1% 하락에도 8월까지 누적 수출액은 474억불 기록

 

2024년 8월 자동차산업을 살펴보면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4.3% 감소한 51억불로 소폭하락했다. 하지만 올해 8월까지의 누적 수출액은 474억불로 지난해보다 1.3%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자동차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7.1% 감소한 289,948대를 기록했다. 기아 화성1공장, 한국지엠 부평공장 시설공사, 한국지엠 임금협상 과정에서 발생한 부분파업 등이 생산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주요 완성차사 임금협상 등이 완료되어 9월 생산과 수출은 전월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수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1.9% 감소한 128,199대를 기록했다. 수출량은 전년동월대비 6.2% 감소한 188,619대를 기록했다. 특히 하이브리드(HEV) 수출은 물량기준 지난해 8월 대비 61.9% 증가했으며, 지난해 4월의 최고 실적(10.6억불)을 경신했다. 친환경차 내수 판매량은 하이브리드차(+21.5%)와 전기차(+60%)의 두 자릿수대 증가율을 바탕으로 전년동월대비 29.7% 증가한 51,366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수출량은 전년동월대비 2.9% 증가한 54,678대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