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센터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개최하는 2024 SIMTOS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산업정보

[4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 이스라엘-이란 분쟁, 홍해 사태 장기화 등으로 유가 등이 높은 변동성 보이며 수주·생산·수출 실적 모두 감소
작성일 2024-06-13 오전 10:10:41
조회수 646
첨부파일

Machine Tool Market
자료_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산업진흥팀

 

 

이스라엘-이란 분쟁, 홍해 사태 장기화 등으로

유가 등이 높은 변동성 보이며 수주·생산·수출 실적 모두 감소










공작기계 수주 동향

2024년 4월 공작기계 수주는 2,749억원으로 전월대비 13.5%%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2% 감소했다. 같은 기간 내수수주는 1,144억원으로 전월대비 13.1%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4.0% 감소했다. 수출수주의 경우 1,605억원으로 전월대비 13.8%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0.9% 감소했다. 2024년 4월 수주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2,677억원, △14.1%), 성형기계(23억원, △27.0%)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범용절삭기계(49억원, +53.6%)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선반(1,434억원, △6.0%), 머시닝센터(1,017억원, △13.7%), 프레스(23억원, △27.0%)는 전월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품목에서는 보링기(72억원, △24.0%), 연삭기(41억원, △22.6%)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밀링기(25억원, +62.4%)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4년 4월 수주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업종의 수주가 227억원으로 전월대비 39.0%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52.7% 감소했다. 그 밖에 일반기계(411억원, △2.1%), 철강·비철금속(35억원, △32.0%), 금속제품(2억원, △95.2%)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전기·전자·IT(143억원, +0.7%), 조선·항공(93억원, +63.5%), 정밀기계(53억원, +34.8%)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생산·출하현황

2024년 4월 공작기계 생산은 1,876억원으로 전월대비 17.9% 감소(전년동월대비 △17.2%) 했으며, 출하는 2,264억원으로 전월대비 16.2% 감소(전년동월대비 △13.2%) 했다. 

2024년 4월 품목별 생산에서는 NC절삭기계(1,696억원, △18.1%), 성형기계(150억원, △2.5%) 범용절삭기계(30억원, △50.4%)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NC선반(846억원, △21.3%), 머시닝센터(548억원, △9.4%), 프레스(150억원, △2.5%)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수출동향

2024년 4월 공작기계 수출은 210백만불로 전월대비 0.2%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31.5% 감소했다. 

2024년 4월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157백만불, +0.2%), 범용절삭기계(17백만불, +158.6%)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35백만불, △24.6%)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 중에서는 NC선반(75백만불, △1.8%)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머시닝센터(36백만불, +4.4%), 레이저가공기(32백만불, +33.8%)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또한 보링기(6백만불, △11.6%), 밀링기(2백만불, △28.7%), 연삭기(1백만불, △74.3%)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범용선반(0.6백만불, +50.1%)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성형기계 중 프레스(18백만불, △34.3%), 전단기/펀칭기/낫칭기(8백만불, △2.6%), 절곡기(4백만불, △40.2%)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4년 4월 대륙별 수출에서는 아시아(73백만불, +26.6%)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북미(59백만불, △3.6%), 유럽(49백만불, △17.0%)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수입동향

2024년 4월 공작기계 수입은 74백만불로 전월대비 17.4%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1% 증가했다.

2024년 4월 수입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50백만불, △22.2%), 성형기계(17백만불, △1.3%), 범용절삭기계(7백만불, △14.6%)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 중 레이저가공기(14백만불, △43.5%), NC선반(7백만불, △57.9%)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머시닝센터(14백만불, +27.7%)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연삭기(9백만불, +16.3%), 보링기(0.7백만불, +32.5%)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범용선반(0.8백만불, △42.4%), 밀링기(0.6백만불, △3.5%)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성형기계 중 전단기/펀칭기/낫칭기(7백만불, +70.6%), 절곡기(4백만불, +8.2%), 프레스(3백만불, +10.9%)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4년 4월 대륙별 수입에서는 아시아(45백만불, △29.3%)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유럽(27백만불, +8.8%), 북미(2백만불, +69.4%)는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4월 자동차산업 동향

 

친환경차와 SUV의 북미

수출확대 등으로 수출 68억 달러 기록

 

2024년 4월 자동차산업을 살펴보면 수출은 친환경차와 SUV의 북미 수출확대 등에 따른 지속적인 상승 기조로 인해 전년동월대비 10.3% 증가한 68억 달러를 기록하며 기존 월수출 최고기록(‘23.11월 65.3억 달러)을 5개월 만에 경신했다. 국내 자동차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3.5% 증가한 39.4만대를 기록하며, 지난해 4월보다 조업일수 1일 증가 등으로 ’23.3월(41.0만대) 이후 1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생산 실적을 보였다. 내수 판매는 전년동월대비 5.5% 감소한 14,1만대를 기록했다. 수출물량은 전년동월대비 8.8% 증가한 271,147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내수 판매는 전년동월대비 13.7% 증가한 51,205대를 기록했으며, 친환경차(승용기준) 수출 대수는 전년동월대비 16.6% 증가한 73,779대, 수출 금액은 전년동월대비 11.6% 증가한 22.9억달러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