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개최하는 2024 SIMTOS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조업일수 감소 및 내수 둔화로 수주·생산 감소했지만
수출은 미국 등 주요지역의 견조한 수요로 2.1억불 상회
공작기계 수주 동향
2024년 2월 공작기계 수주는 2,132억원으로 전월대비 6.1%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5.7% 감소했다. 같은 기간 내수수주는 781억원으로 전월대비 12.4%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1.9% 감소했다. 수출수주의 경우 1,350억원으로 전월대비 2.0%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1.7% 감소했다.
2024년 2월 수주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2,084억원, △6.1%), 범용절삭기계(24억원, △15.7%)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성형기계(24억원, +9.3%)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또한 NC선반(1,111억원, +3.7%), 머시닝센터(788억원, +8.6%), 프레스(24억원, +9.3%)는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품목에서는 보링기(56억원, △5.0%), 연삭기(26억원, △15.3%), 밀링기(8억원, △11.3%)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4년 2월 수주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업종의 수주가 160억원으로 전월대비 48.6%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62.8% 감소했다. 그 밖에 일반기계(160억원, △10.2%), 철강·비철금속(19억원, △68.4%)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전기·전자·IT(124억원, +51.5%), 조선·항공(88억원, +32.8%), 정밀기계(61억원, +33.8%), 금속제품(40억원, +1,477.2%)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생산·출하현황
?2024년 2월 공작기계 생산은 1,962억원으로 전월대비 6.4% 감소(전년동월대비 △7.8%) 했으며, 출하는 2,073억원으로 전월대비 7.3% 감소(전년동월대비 △10.0%) 했다.
2024년 2월 품목별 생산에서는 NC절삭기계(1,758억원, △7.0%), 범용절삭기계(31억원, △9.5%)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성형기계(174억원, +1.4%)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또한 NC선반(820억원, △6.6%), 머시닝센터(551억원, △12.8%)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프레스(174억원, +1.4%)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수출동향
2024년 2월 공작기계 수출은 209백만불로 전월대비 2.3%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4% 증가했다. 2024년 2월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151백만불, +9.5%)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45백만불, △9.3%), 범용절삭기계(13백만불, △22.3%)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 중에서는 NC선반(74백만불, +13.9%), 머시닝센터(42백만불, +23.1%)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레이저가공기(14백만불, △34.2%)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보링기(5백만불, △7.0%), 연삭기(2백만불, △35.5%), 범용선반(1백만불, △67.6%)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밀링기(2백만불, +6.7%)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성형기계 중 프레스(25백만불, +9.5%), 절곡기(7백만불, +112.9%)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전단기/펀칭기/낫칭기(12백만불, △14.4%)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4년 2월 대륙별 수출에서는 북미(73백만불, +8.5%), 유럽(64백만불, +17.5%)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아시아(49백만불, △22.1%)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수입동향
2024년 2월 공작기계 수입은 65백만불로 전월대비 13.1%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3% 증가했다.
2024년 2월 수입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39백만불, △25.6%), 범용절삭기계(7백만불, △10.2%)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성형기계(19백만불, +29.6%)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절삭기계 중 레이저가공기(20백만불, +44.6%), NC선반(6백만불, +61.8%)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머시닝센터(4백만불, △81.9%)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연삭기(5백만불, △41.3%), 범용선반(0.3백만불, △52.9%)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밀링기(3백만불, +106.6%)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성형기계 중 절곡기(6백만불, +214.0%), 기타성형기계(3백만불, +38.0%)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프레스(5백만불, △23.0%)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4년 2월 대륙별 수입에서는 아시아(41백만불, △11.1%), 유럽(18백만불, △34.0%)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북미(6백만불, +230.4%)는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2월 자동차산업 동향
2월 자동차 수출 감소했지만 1~2월 누계는
전년동기대비 7.5% 증가한 114억달러 기록
2024년 2월 자동차산업을 살펴보면 국내 생산은 생산시설 공사, 설 연휴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13.6% 감소한 300,459대를 기록했다. 내수판매는 전년동월대비 21.2% 감소한 115,753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물량은 전년동월대비 11.0% 감소한 198,653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내수 판매는 전년동월대비 11.7% 감소한 40,102대를 기록했으며, 친환경차(승용기준) 수출 대수는 전년동월대비 13.8% 감소한 53,369대, 수출 금액은 전년동월대비 15.3% 감소한 17.1억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2024년 2월 자동차 수출은 명절 연휴에 따른 수출 선적일 감소 및 전년도 역기저(’23.2월 +47%), 미래차 전환을 위한 생산시설 정비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7.8% 감소한 52억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24년 1~2월 누계 기준 자동차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7.5% 증가한 114억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