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센터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개최하는 2024 SIMTOS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산업정보

[1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 홍해사태 등 부정적 대외 여건 지속으로 공작기계 수출 10개월 만에 전년동기대비 감소로 전환하여 2.2억불 기록
작성일 2024-03-22 오후 2:32:48
조회수 357
첨부파일

Machine Tool Market
자료_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산업진흥팀

 

 

홍해사태 등 부정적 대외 여건 지속으로 공작기계 수출 10개월 만에

전년동기대비 감소로 전환하여 2.2억불 기록








공작기계 수주 동향

2024년 1월 공작기계 수주는 2,270억원으로 전월대비 0.5%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1.3% 감소했다. 같은 기간 내수수주는 892억원으로 전월대비 50.8%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5.4% 감소했다. 수출수주의 경우 1,377억원으로 전월대비 18.5%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4.8% 감소했다.

2024년 1월 수주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2,219억원, △0.8%), 범용절삭기계(29억원, △2.9%)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성형기계(22억원, +61.0%)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선반(1,071억원, △15.3%), 머시닝센터(725억원, △11.1%)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프레스(22억원, +61.0%)는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품목에서는 보링기(59억원, △3.4%), 밀링기(9억원, △36.4%)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연삭기(31억원, +151.4%)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4년 1월 수주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업종의 수주가 311억원으로 전월대비 143.6%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2.2% 감소했다. 그 밖에 일반기계(178억원, +17.4%), 전기·전자·IT(82억원, +49.7%), 조선·항공(66억원, +148.8%), 철강·비철금속(61억원, +68.2%), 정밀기계(45억원, +3.7%)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금속제품(2억원, △66.4%)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생산·출하현황

2024년 1월 공작기계 생산은 2,095억원으로 전월대비 1.9% 증가(전년동월대비 △1.9%) 했으며, 출하는 2,235억원으로 전월대비 14.6% 감소(전년동월대비 △3.5%) 했다. 2024년 1월 품목별 생산에서는 NC절삭기계(1,890억원, +1.9%), 성형기계(171억원, +16.1%)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범용절삭기계(34억원, △37.1%)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NC선반(878억원, +3.0%), 머시닝센터(632억원, +1.2%), 프레스(171억원, +16.1%) 모두 전월대비 증가했다.

 


 

 

수출동향

2024년 1월 공작기계 수출은 204백만불로 전월대비 33.8%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6.7% 감소했다. 2024년 1월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138백만불, △28.2%), 성형기계(50백만불, △45.3%), 범용절삭기계(16백만불, △35.0%)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 중에서는 NC선반(65백만불, △20.2%), 머시닝센터(34백만불, △11.3%), 레이저가공기(21백만불, △49.2%)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범용선반(3백만불, △78.1%), 보링기(5백만불, △44.1%), 연삭기(3백만불, △15.8%), 밀링기(2백만불, △42.0%)도 전월대비 감소했다.

성형기계 중 프레스(23백만불, △56.7%), 전단기/펀칭기/낫칭기(14백만불, △27.1%)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단조기(8백만불, +33.0%)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4년 1월 대륙별 수출에서는 북미(67백만불, △52.7%), 아시아(63백만불, △24.5%)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유럽(54백만불, +4.8%)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수입동향

2024년 1월 공작기계 수입은 75백만불로 전월대비 5.2%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34.3% 증가했다.

2024년 1월 수입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53백만불, +20.0%)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15백만불, △4.1%), 범용절삭기계(7백만불, △37.8%)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 중 머시닝센터(20백만불, +89.5%), 레이저가공기(13백만불, +3.0%)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NC선반(4백만불, △27.3%)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연삭기(9백만불, +126.7%)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밀링기(1백만불, △56.6%), 범용선반(1백만불, △59.5%)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성형기계 중 프레스(7백만불, +13.7%), 기타성형기계(2백만불, +323.9%)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절곡기(2백만불, △37.3%)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4년 1월 대륙별 수입에서는 아시아(46백만불, △1.9%), 북미(2백만불, △50.4%)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유럽(27백만불, 36.8%)은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1월 자동차산업 동향

 

1월 자동차 수출액 62억 달러로 역대 1월 실적 중 사상 최고치 달성

 

2024년 1월 자동차산업을 살펴보면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16.9% 증가한 358,423대를 기록했다. 내수는 전년동월대비 0.4% 감소한 116,152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차량은 전년동월대비 23.5% 증가한 245,255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내수 판매는 전년동월대비 66.4% 증가한 37,837대를 기록했으며, 친환경차(승용 기준) 수출 대수는 전년동월대비 12.2% 증가한 62,237대, 수출 금액은 전년동월대비 15.9% 증가한 20.8억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2024년 1월 자동차 수출액이 62억달러로, 1월 실적 중 사상 최고치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자동차 무역흑자는 54억달러로 수출 품목 중 1위를 기록하며, 1월 국가 무역수지 흑자 달성에 가장 크게 기여한 품목으로 등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