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개최하는 2024 SIMTOS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글로벌 경기 위축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전기차
생산 설비투자 증가로 미국수출 역대 최대 기록
공작기계 수주 동향
2023년 9월 공작기계 수주는 2,082억원으로 전월대비 4.7%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5.6% 감소했다. 같은 기간 내수수주는 608억원으로 전월대비 12.6%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35.7% 감소했다. 수출수주의 경우 1,473억원으로 전월대비 14.1%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3.1% 감소했다.
2023년 9월 수주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2,034억원, +5.0%)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범용절삭기계(33억원, △1.2%), 성형기계(14억원, △16.5%)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선반(899억원, △9.5%), 프레스(14억원, △16.5%)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머시닝센터(896억원, +17.0%)는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품목에서는 연삭기(55억원, +61.0%), 보링기(49억원, +55.7%)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밀링기(14억원, △29.5%)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3년 9월 수주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업종의 수주가 233억원으로 전월대비 2.0%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34.7% 감소했다. 그 밖에 일반기계(147억원, +3.3%), 전기·전자·IT(56억원, +31.2%), 철강·비철금속(27억원, +218.4%)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조선·항공(33억원, △20.2%), 정밀기계(31억원, △29.5%), 금속제품(7억원, △88.9%)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생산·출하현황
2023년 9월 공작기계 생산은 2,182억원으로 전월대비 5.6% 중가(전년동월대비 +1.0%) 했으며, 출하 역시 2,689억원으로 전월대비 7.7% 중가(전년동월대비 +0.2%) 했다. 2023년 9월 품목별 생산에서는 NC절삭기계(1,998억원, +5.8%), 범용절삭기계(30억원, +42.0%)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154억원, △2.0%)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NC선반(922억원, +3.8%), 머시닝센터(697억원, +5.2%)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프레스(154억원, △2.0%)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수출동향
2023년 9월 공작기계 수출은 220백만불로 전월대비 5.5%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2.5% 증가했다. 2023년 9월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148백만불, △1.6%)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성형기계(64백만불, +21.4%), 범용절삭기계(8백만불, +46.2%)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절삭기계 중에서는 NC선반(71백만불, +3.7%), NC기타절삭기계(8백만불, +152.8%)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머시닝센터(47백만불, △1.8%)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보링기(4백만불, +22.6%), 밀링기(0.5백만불, +27.8%), 범용선반(0.4백만불, +91.1%)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연삭기(2백만불, △38.5%)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성형기계 중 프레스(38백만불, +100.3%), 절곡기(8백만불, +86.9%)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전단기/펀칭기/낫칭기(13백만불, △45.9%)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3년 9월 대륙별 수출에서는 북미(86백만불, +49.7%)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유럽(64백만불, △15.9%), 아시아(47백만불, △23.9%)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수입동향
2023년 9월 공작기계 수입은 76백만불로 전월대비 2.4%,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0.2% 감소했다.
2023년 9월 수입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54백만불, +17.2%)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16백만불, △36.4%), 범용절삭기계(6백만불, △10.3%)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 중 레이저가공기(19백만불, +6.0%), NC선반(11백만불, +153.6%)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머시닝센터(8백만불, △28.2%)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연삭기(9백만불, +12.7%)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범용선반(0.4백만불, △60.8%), 밀링기(0.3백만불, △70.7%)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성형기계 중 절곡기(6백만불, △5.9%), 프레스(4백만불, △42.9%)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전단기/펀칭기/낫칭기(3백만불, +21.7%)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3년 9월 대륙별 수입에서는 아시아(51백만불, △3.9%), 북미(2백만불, △72.0%)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유럽(23백만불, +35.1%)은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9월 자동차산업 동향
’23년 3분기까지 자동차 수출 역대 최고 수출 실적 512억달러 기록
2023년 9월 자동차산업을 살펴보면 생산은 국내 주요 완성차사 및 부품 업계의 임금?단체협상 과정에서 발생한 부분파업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1.9% 감소한 301,799대로 나타났다. 내수는 전기차 보조금 인상안 기대에 따른 전기차 수요층의 구매 이연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4.7% 감소한 133,709대를 기록했다.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3% 증가한 197,770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국내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2.3% 증가한 42.621대를 기록했고, 친환경차(승용 기준) 수출 대수는 전년동월대비 10.6% 증가한 53,801대, 수출 금액은 전년동월대비 23.3% 증가한 17.4억달러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