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개최하는 2024 SIMTOS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8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
글로벌 금리·유가 상승,
해외수요 감소 등으로 부진
공작기계 수주 동향
2023년 8월 공작기계 수주는 1,927억원으로 전월대비 18.9%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3.7% 감소했다. 같은 기간 내수수주는 635억원으로 전월대비 10.4%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32.9% 감소했다. 수출수주의 경우 1,292억원으로 전월대비 22.5%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8.1% 감소했다.
2023년 8월 수주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 (1,876억원, △19.4%), 성형기계(17억원, △26.5%)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범용절삭기계(33억원, +31.7%)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선반(941억원, △17.2%), 머시닝센터(757억원, △13.8%), 프레스(17억원, △26.5%) 모두 전월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품목에서는 연삭기(34억원, △36.0%), 보링기(31억원, △49.6%)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밀링기(20억원, +94.0%)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3년 8월 수주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업종의 수주가 213억원으로 전월대비 1.1% 감소했으며, 전년동월 대비로는 36.1% 감소했다. 그 밖에 일반기계(142억원, +20.2%), 금속제품(25억원, +41.3%)은 전월대비 증가 한 반면, 정밀기계(45억원, △19.9%), 전기·전자·IT(43억원, △46.2%), 조선·항공(41억원, △24.5%), 철강·비철·금속(9억원, △84.3%)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생산·출하현황
2023년 8월 공작기계 생산은 2,041억원으로 전월대비 4.5% 감소(전년동월대비 △7.9%) 했으며, 출하 역시 2,477억원으로 전월대비 4.5% 증가(전년동월대비 △10.8%) 했다. 2023년 8월 품목별 생산에서는 NC절삭기계(1,862억원, △5.1%), 범용절삭기계(21억원, △6.4%)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성형기계(158억원, +3.7%)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또한 NC선반(873억원, △6.6%), 머시닝센터(653억원, △4.2%)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프레스(158억원, +3.7%)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수출동향
2023년 8월 공작기계 수출은 209백만불로 전월대비 0.3%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8.2% 증가했다.
2023년 8월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150백만불, +7.3%)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53백만불, △12.1%), 범용절삭기계(5백만불, △31.4%)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 중에서는 NC선반(69백만불, △3.9%)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머시닝센터(48백만불, +18.3%), 레이저가공기(23백만불, +109.2%)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또한 연삭기(3백만불, △63.8%), 밀링기(0.4백만불, △69.1%)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보링기(3백만불, +52.1%), 범용선반(0.2백만불, +11.2%)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성형기계 중 전단기/펀칭기/낫칭기(23백만불, +90.4%), 단조기(5백만불, +36.7%)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프레스(19백만불, △40.2%)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3년 8월 대륙별 수출에서는 유럽(76백만불, +11.7%), 북미(58백만불, +38.2%)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아시아(62백만불, △13.0%)는 전월대비 감소 했다.
수입동향
2023년 8월 공작기계 수입은 78백만불로 전월대비 11.0%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30.1% 감소했다.
2023년 8월 수입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46백만불, △2.0%)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성형기계(25백만불, +44.9%), 범용절삭기계(7백만불, +15.7%)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절삭기계 중 레이저가공기(17백만불, +7.7%), NC선반(4백만불, +0.7%)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머시닝센터(12백만불, △0.1%)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연삭기(8백만불, +11.5%), 밀링기(1백만불, +9.4%), 범용선반(0.9백만불, +563.1%)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성형기계 중 프레스(7백만불, +40.2%), 단조기(6백만불, +1427.9%)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절곡기(6백만불, △3.1%)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3년 8월 대륙별 수입에서는 아시아(53백만불, +30.4%), 북미(8백만불, +212.4%)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유럽(17백만불, △32.9%)은 전월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8월 자동차산업 동향
자동차 수출 역대 8월 중 최고인 53억 달러 달성,
작년 7월부터 14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두 자리수대 증가율 기록
2023년 8월 자동차산업을 살펴보면 생산은 공급망 차질 해소 와 더불어 해외 주요 시장의 수요를 바탕으로 전년동월대비 9.6% 증가한 311,959대로 나타났다. 내수는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 종료 및 수입차 판매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0.7% 감소한 130,667대를 기록했다. 수출은 북미와 유럽시장을 중심으로 국산차 판매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전년동월대비 19.6% 증가한 199,214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국내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11.9% 증가한 39,481대를 기록했고, 친환경차(승용 기준) 수출대수는 전년동월대비 29.4% 증가한 53,383대로 나타났다. 친환경차 수출 금액은 전년동월대비 47.8% 증가한 18.0억 달러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