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개최하는 2024 SIMTOS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7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
자동차 관련 설비투자 증가로 해외 수주 4개월 연속 증가
계절적 요인과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내수는 부진
공작기계 수주 동향
2023년 7월 공작기계 수주는 2,375억원으로 전월대비 19.3%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2%, 감소했다. 같은 기간 내수수주는 709억원으로 전월대비 26.9%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32.4% 감소했다. 수출수주의 경우 1,667억원으로 전월대비 15.6%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2.9% 증가했다.
2023년 7월 수주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2,326억원, △19.3%), 범용절삭기계(25억원, △13.5%), 성형기계(23억원, △20.0%)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선반(1,137억원, △8.8%), 프레스(23억원, △20.0%)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머시닝센터(878억원, +0.5%)는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품목에서는 보링기(62억원, △18.3%), 연삭기(54억원, △10.9%), 밀링기(10억원, △9.2%)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3년 7월 수주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업종의 수주가 216억원으로 전월대비 32.3%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7.6% 감소했다. 그 밖에 일반기계(118억원, △45.9%), 전기·전자·IT(81억원, △36.5%), 금속제품(18억원, △60.2%)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정밀기계(56억원, +43.9%), 철강·비철금속(55억원, +74.1%), 조선·항공(54억원, +13.6%)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생산·출하현황
2023년 7월 공작기계 생산은 2,137억원으로 전월대비 8.4% 감소(전년동월대비 △4.2%) 했으며, 출하 역시 2,371억원으로 전월대비 14.6% 감소(전년동월대비 △6.8%) 했다. 2023년 7월 품목별 생산에서는 NC절삭기계(1,963억원, △9.0%), 성형기계(152억원, △0.5%), 범용절삭기계(23억원, △6.4%)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NC선반(935억원, △15.1%), 머시닝센터(681억원, △8.0%), 프레스(152억원, △0.5%)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수출동향
2023년 7월 공작기계 수출은 208백만불로 전월대비 20.7%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5.2% 증가했다. 2023년 7월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140백만불, △20.4%), 성형기계(60백만불, △17.8%), 범용절삭기계(8백만불, △39.9%)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 중에서는 NC선반(71백만불, △16.1%), 머시닝센터(41백만불, △8.6%), 레이저가공기(11백만불, △64.6%)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연삭기(10백만불, +64.2%)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보링기(2백만불, △37.2%), 밀링기(1백만불, △40.7%), 범용선반(0.2백만불, △77.5%)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성형기계 중 프레스(32백만불, △44.3%)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전단기/펀칭기/낫칭기(12백만불, +500.0%), 절곡기(10백만불, +14.9%)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3년 7월 대륙별 수출에서는 아시아(71백만불, △39.9%), 북미(42백만불, △28.8%)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유럽(68백만불, +1.1%)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수입동향
2023년 7월 공작기계 수입은 70백만불로 전월대비 17.8%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0.7% 감소했다.
2023년 7월 수입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47백만불, △25.6%), 범용절삭기계(6백만불, △28.5%)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성형기계(17백만불, +25.0%)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절삭기계 중 레이저가공기(16백만불, △23.3%), 머시닝센터(12백만불, △20.9%), NC선반(4백만불, △44.6%)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연삭기(7백만불, △33.8%), 밀링기(1백만불, △60.4%), 범용선반(0.1백만불, △69.4%)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성형기계 중 절곡기(6백만불, +8.2%), 프레스(5백만불, +56.6%), 인발기(2백만불, +122.6%)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3년 7월 대륙별 수입에서는 아시아(41백만불, △28.2%), 유럽(25백만불, △3.4%)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북미(2백만불, +23.8%)는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7월 자동차산업 동향
해외 친환경차 수요증가세 이어지며 수출 호조 지속
친환경차 수출액 6개월 연속 20억달러 돌파 기록
2023년 7월 자동차산업을 살펴보면 생산은 국내외 주요 시장의 수요를 바탕으로 공급망 차질이 해소되면서 전년동월대비 8.8% 증가한 352,972대로 나타났다. 내수는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 종료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5.0% 감소한 136,089대를 기록했다. 수출은 북미와 유럽시장을 중심으로 국산차의 글로벌 판매 호조가 이어지면서 전년동월대비 2.8% 증가한 228,976대를 기록했다.
차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15.0% 증가한 5,904백만달러를 기록했다. 이중 친환경차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36.0% 증가한 2,001백만달러를 기록하며 6개월 연속 20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친환경차 수요 증가에 따른 수출 호조세는 지속됐다. 한편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0.5% 감소한 2,023백만달러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