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센터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개최하는 2024 SIMTOS 전시회를 소개합니다.

산업정보

[6월 국내 공작기계 시장 동향] 해외 자동차 수요 확대에 따른 설비투자 증가, 공작기계 수주·수출 전월동월대비 3개월 연속 증가
작성일 : 2023-08-03 오후 10:35:40
조회수 280
첨부파일

Machine Tool Market
자료_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산업진흥팀

 

 

6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

 

해외 자동차 수요 확대에 따른 설비투자 증가,
공작기계 수주·수출 전월동월대비 3개월 연속 증가

 

32-1.jpg 

 

공작기계 수주 동향

2023년 6월 공작기계 수주는 2,943억원으로 전월대비 11.4%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6%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내수수주는 969억원으로 전월대비 1.4%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7.8% 감소했다. 수출수주의 경우 1,974억원으로 전월대비 17.1%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6.9% 증가했다.

2023년 6월 수주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2,885억원, +11.6%), 범용절삭기계(29억원, +16.6%)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29억원, △8.9%)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선반(1,246억원, △4.1%), 머시닝센터(873억원, △11.1%), 프레스(29억원, △8.9%) 모두 전월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품목에서는 보링기(76억원, +4.6%), 연삭기(60억원, +33.3%), 밀링기(11억원, +91.6%)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3년 6월 수주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업종의 수주가 318억원으로 전월대비 8.0%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4.8% 증가했다. 그 밖에 일반기계(218억원, +19.9%), 전기·전자·IT(127억원, +30.2%), 금속제품(45억원, +128.8%), 철강·비철금속(31억원, +41.2%)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조선·항공(48억원, △38.8%), 정밀기계(39억원, △58.8%)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32-2.jpg

 

생산·출하현황

2023년 6월 공작기계 생산은 2,334억원으로 전월대비 7.8% 증가(전년동월대비 △5.7%) 했으며, 출하 역시 2,778억원으로 전월대비 10.5% 증가(전년동월대비 △2.8%) 했다. 2023년 6월 품목별 생산에서는 NC절삭기계(2,157억원, +8.9%)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153억원, △1.1%), 범용절삭기계(24억원, △20.8%)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또한 NC선반(1,101억원, +5.8%), 머시닝센터(741억원, +11.3%)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프레스(153억원, △1.1%)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32-3.jpg 

 

수출동향 

2023년 6월 공작기계 수출은 262백만불로 전월대비 12.4% 증가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8.4% 증가했다. 2023년 6월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176백만불, +24.5%), 범용절삭기계(13백만불, +46.4%)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성형기계(73백만불, △11.7%)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NC절삭기계 중에서는 NC선반(85백만불, +9.2%), 머시닝센터(44백만불, +5.6%), 레이저가공기(31백만불, +303.5%)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또한 연삭기(6백만불, △9.8%), 보링기(3백만불, △25.8%)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밀링기(2백만불, +100.4%), 범용선반(0.9백만불, +60.7%)은 전월대비 증가했다.

성형기계 중 프레스(57백만불, △1.7%), 절곡기(9백만불, △12.1%), 단조기(3백만불, △44.9%)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2023년 6월 대륙별 수출에서는 아시아(118백만불, +34.6%), 유럽(67백만불, +10.5%), 북미(58백만불, +11.9%)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중남미(6백만불, △74.5%)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32-4.jpg

 

수입동향 

2023년 6월 공작기계 수입은 85백만불로 전월대비 13.9% 감소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7.8% 감소했다. 

2023년 6월 수입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NC절삭기계(63백만불, △13.2%), 성형기계(14백만불, △31.0%)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범용절삭기계(9백만불, +28.4%)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NC절삭기계 중 레이저가공기(21백만불, △34.6%), 머시닝센터(15백만불, △6.3%), NC선반(8백만불, △20.2%)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연삭기(10백만불, +28.0%), 밀링기(2백만불, +81.6%)는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범용선반(0.5백만불, △35.6%)은 전월대비 감소했다. 성형기계 중 절곡기(6백만불, △3.2%), 프레스(3백만불, △53.9%)는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전단기/펀칭기/낫칭기(2백만불, +54.0%)는 전월대비 증가했다.

2023년 6월 대륙별 수입에서는 아시아(57백만불, △8.1%), 유럽(26백만불, △26.5%)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북미(2백만불, +8.9%)는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2-5.jpg

 

 

2023년 6월 자동차산업 동향

 

북미·유럽 중심의 글로벌 판매 호조세 지속
친환경차 수출액 5개월 연속 20억달러 돌파

 

2023년 6월 자동차산업을 살펴보면 생산은 국내 및 북미·유럽 시장 등의 수요를 바탕으로 공급망 차질이 해소되면서 전년동월대비 12.8% 증가한 370,284대로 나타났다. 내수는 전년동월대비 11.4% 증가한 162,699대를 기록했다. 수출은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국산차의 글로벌 판매 호조에 따라 전년동월대비 40.8% 증가한 241,924대로 집계됐다.

차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58.3% 증가한 6,229백만달러를 기록했다. 이중 친환경차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98.4% 증가한 2,209백만달러를 기록하며 5개월 연속 20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친환경차 수출 호조세는 지속됐다. 한편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5.7% 증가한 1,991백만달러로 나타났다.

 

32-6.jpg